휴가 2

그것이 알고싶다! 1편_헌혈 공가는 왜 반차일까?

저는 헌혈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군대있을 때 처음으로 한 헌혈은 저에게 '몸만 건강하면 손쉽게 봉사활동이 가능하구나'라는 깊은 인상을 받았기에 지금까지 계속 헌혈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고 저는 직장에서도 어쩌다 한번씩 눈치 아닌 눈치를 보며 「혈액관리법」에 따른 헌혈에 참가하기 위해 공가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저의 근무상황에 등록된 헌혈 공가는 반나절(4시간)이었습니다. 그동안은 헌혈 공가를 사용하면서 반나절(4시간)이라는 기간에 대해 아무 생각없다가 한번은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정리해보고자 나름대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헌혈 공가는 언제 도입되었을까? 한참 시간을 거슬러 2004년으로 올라갑니다. 당시 보건복지부의 '혈액안전관리개선종합대책안' 보도자료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공가(반나절)이라는 인센티..

교정직 공무원 2023.02.23

[Q&A] 공무원 임용전 배우자 출산으로 특별휴가가 될까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중 특별휴가(일명 출산휴가) 사용의 재밌는 사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가끔 신규 직원들 중에서 발령 혹은 임용 전 가까운 시일 내에 출산을 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Q. 그러면 국가(지방)공무원 임용 전에 발생한 사유(출산)로 특별휴가(출산휴가) 사용이 가능할까요? 🤔 A. 네,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부처에 질의 답변까지 받았..]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0조(특별휴가) ② 행정기관의 장은 임신 중인 공무원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의 출산휴가를 승인하되, 출산 후의 휴가기간이 45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60일) 이상이 되게 하여야 한다. 다만, 행정기관의 장은 임신 중인 공무원이 다음 각..

교정직 공무원 2021.09.12
반응형